전체 4768

노무현 전대통령귀향 1년전과 후의 봉하마을 모습은...

봉하마을 들어서는 입구.. 며칠전 노무현 전대통령이 살고 귀향해서 살고 계시는 봉하마을에 다녀왔습니다. 작년 노무현 전대통령의 귀향하는 모습을 보기위해 봉하마을을 찾은 뒤 1년만에 다시 찾은 봉하마을.. 나름대로 노 전대통령께서 귀향하실때의 모습을 상상하며 부푼 가슴을 안고 봉하마을에 갔었는데.. 1년이란 세월이 너무 긴 탓일까.. 왠지 1년전의 가슴 설레게 했던 생각과는 너무도 차이가 났답니다. 그래도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대통령의 생가인데.. 여느 시골과 다름없이 너무도 조용한 분위기에 변한건 아무것도 없었습니다. 대통령 생가 푯말이 없다면 그냥 지나치고 말 정도로 너무도 조용했습니다. 봉하마을 노무현 전대통령 생가로 들어서는 입구에 들어서니 하나의 플랫카드만이 여기가 노 전대통령이 살고 계시는 곳이라..

생활속 기사 2009.03.07

매화향이 가득한 원동 매화마을의 봄.

원동 매화마을.. 매화꽃 내음에 흠뻑 취한 벌. 경남 양산 부근의 원동.. 아름다운 낙동강과 운치있는 철길이 있고, 무엇보다도 그와 어울어진 매화꽃이 만발하니 더 운치있고 낭만적인 곳으로 유명하답니다. 그리고 드라이브하기에 좋은 곳이라 사랑하는 사람과 함께 원동 나들이를 하시는 것도 좋을 듯 하구요. 봄을 제일 먼저 알려 준 원동의 매화.. 몇 주전에 갔을때는 꽃망울만 얼굴을 내밀더니. 지금은 매화가 화사한 모습으로 활짝 피어 마음까지 봄을 느낄 수 있었답니다. 매화가 만발한 주위에 한 가옥이 더 운치있는 모습이네요. 경칩이 지난 뒤라 더욱더 주위 곳곳에선 봄 분위기가 만연합니다. 낙동강의 아름다운 풍경에 낭만적으로 보이는 철길이 더 운치있는 분위기입니다. 매화가 만발하니 향기에 흠뻑 취하는 느낌이네요...

경상남도 2009.03.06

마산 통술 문화골목을 아시나요?

새롭게 단장한 마산 통술문화거리의 모습. 마산 어시장 가는 길에 통술거리라는 푯말이 있더라구요. 마산에서 유명한 것이라고는 제가 알기론 아귀찜, 복국등으로만 알고 있었는데.. 마산에서 통술이 유명하다고 생긴 통술거리. 옛 풍경 그대로 통술거리라고 일컫는 거리는 작은 술집들로 가득했습니다. 좁은 골목길의 통술거리. 1970년대의 풍경을 보는 듯... 통술문화거리로 새롭게 알려진 옛 통술거리 풍경.. 가게 이름도 통술거리라고 알 수 있도록 00 통술이란 간판이 이색적입니다. 마산 어시장 가는 길에 위치한 통술골목으로 지금은 통술 문화거리로 알려져 많은 사람들이 이곳이 도대체 어떤 곳인지 알고 싶어 찾는 분들이 늘고 있다고 합니다. 물론 마산에서 오래 사신 분들은 오래전부터 생긴 술집 골목으로 알고 계시는 분..

경상남도 2009.03.06

와우!~.고객감동으로 SK텔레콤에서 순금을 주네요.

며칠전에 SK텔레콤에 볼일을 보러 갔습니다. 평소에 각종 요금 문제나 핸드폰 구입을 인터넷으로 하고 나면 새 핸드폰으로 번호 이동하기 위해 들렀던 것 외에.. 핸드폰 관련 궁금증이 있으면 자주 찾아 문의을 했었는데.. SK텔레콤 직원분께서 오랫동안 SK텔레콤을 이용해 주신다고 고객감동 서비스로 순금( 99.9% )을 선물로 주셨습니다. 선물로 받은 순금은 바로 핸드폰 전자파를 방지하기 위해 SK텔레콤 자체내에서 개발한 것으로 핸드폰내에 부착하고 다닐 수 있도록 고안한 것인데.. 정말 앙증맞고 좋더라구요. 핸드폰 전자파에 대한 유해성은 많이 거론된 이야기라 잘 아시겠지만.. 잘 모르시는 분들을 위해 잠깐 설명을 해 드릴께요. 핸드폰 전자차 유해성.. 1. 눈의 장애. 2.내분비계 이상. 3.생식기능 악화...

생활속 기사 2009.03.05

갈매기의 우아한 비상모음..(순간포착.)

며칠전 기장 월정에 갔습니다. 이곳은 장어가 유명한 곳으로 휴일이면 기장 근교에 있는 많은 사람들이 이곳 월전에서 싱싱한 장어구이를 먹기위해 많이 오시는 곳이지요. 맛있는 장어구이로 유명한 기장 월전이지만.. 조용한 어촌마을이라 더욱더 휴일이면 사람들이 많이 찾는 이곳은 아름다운 풍경과 어울어진 어촌의 넉넉한 풍경이 삭막한 도심에서 잠시 일탈하여 심적으로 안정된 하루를 보내기엔 충분한 곳이지요. 잔잔한 바다의 물결이 마음까지 푸근하게 하는 것 같습니다. 어촌의 삶을 느낄 수 있는 통발.. 바닷가에서만 느낄 수 있는 넉넉함은 주위 풍경에서도 느낄 수 있지만 무엇보다도 어촌주위에서 볼 수 있는 갈매기의 비상이 아닐까 합니다. 가로등에서 휴식을 취하는 갈매기들의 모습과 바다위를 유유히 날으는 갈매기의 대조적인..

순간포착 2009.03.05

(현장취재)롯데자이언츠 전용 연습구장에 다녀 왔습니다.

상동 야구장에서 롯데자이언츠 선수들과 경성대 학생들의 게임하는 장면. 어제 롯데자이언츠 전용 연습구장 김해 상동 야구장에 갔습니다. 해외 전지훈련을 하고 있는 선수들 중에서 투수들이 먼저 와서 상동 야구장에서 훈련을 하는 날이라고 하여 구경을 갔습니다. 김해에 위치한 상동 야구장.. 나름대로 도심에 있는 야구장과는 달리 조용한 시골에 위치해 있어 운동하기에는 좋은 곳이라는 생각이 들더군요. 상동 야구장에 도착하자마자 게임을 하는 것을 보기위해 관람석에 올라 갔습니다. 연습구장이라 그런지 부산 사직구장과는 달리 아담하더라구요. 물론 관람석도 별로 되지 않구요. 어제 올라가서 보니 대학생 선수들의 부모님들이 관람을 하고 있었습니다. 조용한 분위기에서.. 저도 잠깐 선수들의 모습을 보기위해 구경을 하였습니다...

경상남도 2009.03.05

산 전체가 성벽으로 둘러 쌓인 곳을 보셨나요?..( 금정산의 멋진 풍경.)

금정산성 전체를 이어 놓은 성벽의 모습. 금정산성 정상 고당봉. 아름다운 부산의 명산으로 유명한 금정산.. 그곳은 다른 산과는 달리 산 전체가 성으로 둘러 쌓여져 있어 문화적 가치가 높아 많은 산악인들과 관광객들이 찾는 산이다. 금정산성.. 금정산에 언제부터 성을 쌓았는지는 문헌상으로는 알 수 없으나 남해안과 낙동강 하류에 왜구의 침입이 심하였다는 사실로 미루어 보아 신라때 부터 이미 성이 있었다는 견해도 있으나 분명치 않다. 현존하는 산성은 경상감사 조태동의 건의에 의하여 숙종29년에 동래부사 박태항,이야가 성을 쌓았고, 숙종33년에 동래부사 한배하가 중성을 새로 쌓았으며, 순조8년 동래부사 오한원이 무너지고 성을 고쳐 쌓았다. 또한 일본 암흑가에 일본인들에 의해 훼손, 황폐화 되었던 것을 1971년 ..

부산 2009.03.04

(현장취재) 자전거 전용도로의 무용지물..

자전거 전용도로에 주차된 트럭.. 자전거 전용도로 무용지물의 한단면을 보여 주는 모습.. 얼마전에 부산에서 시범적으로 명륜동에서 동래시장쪽에 자전거 전용도로를 만드는 것에 많은 시민들이 나름대로 기대를 많이 했습니다. 그러나 자전거 전용도로가 잘 시행되고 있는 걸까요.. 보통 자전거 전용도로라고 하면 하천주변 공원을 중심으로 있었지만,나름대로 복잡한 도심에 생겨 주변에 있던 시민들이나 그 주위를 지나가던 자전거 애용자들이 무척이나 기대를 했지만.. 생각보다 그 기대에 못 미치는 것 같아 조금은 씁쓸했습니다. 자전거 전용도로라고 도로에 시민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잘 만들어 놓았지만.. 자전거를 타고 가는 사람들은 위험 천만하게 차도로 다니고 있었습니다. 왜 자전거 전용도로가 있음에도 차도로 위험하게 다닐까..

생활속 기사 2009.03.03

안동댐 수몰로 과거시험 보던 자리만 남아 있는 시사단 풍경.

과거시험을 보던 장소..시사단의 풍경. 안동에서 유명한 도산서원입구에 들어서면 시원스레 펼쳐진 길이 마음까지 넉넉하게 만드는 것 같은 느낌이 든다. 무엇보다도 수려한 자연환경과 맑은 공기가 더 기억에 남는 곳이었던 도산서원.. 역시 옛 선조들이 학업을 위해 이곳 안동을 택한 이유가 있더군요. 첩첩산중이었던 곳이 지금은 도로도 잘 마련되어 도산서원에 가기 쉽지만.. 옛날에는 산을 넘고 넘어서 간 듯한 길을 직접 느껴지기도 했습니다. 유명한 도산서원 들어가는 길.. 오른편에는 물이 흐르고.. 맑은 공기와 더불어 왼쪽 산에선 산새들이 노래를 하니.. 이곳이 바로 심신을 나름대로 느낄 수 있었답니다. 도산서원에 다달을 즈음 천광운영대에서 바라 본 시사단이 아름다운 모습으로 있답니다. 그럼 천광운영대란 어떤 곳일..

경상북도 2009.03.02

안동의 먹거리 ' 헛제사밥 '을 아시나요?

헛제사밥. 안동이라고 하면 역사의 향기와 전통이 살아있는 한국정신문화의 수도라고 익히 알려져 있습니다. 시대별로 다양한 문화재를 고르게 보유한 전통문화의 고장 안동.. 역시 안동 곳곳을 며칠 여유있게 구경을 해 보니 한국정신문화의 수도라는 말이 딱 들어 맞는 것 같더라구요. 우리가 많이 알고 있는 도산서원, 병산서원등 여러 유명한 서원들과, 우리나라 대표탈춤 안동탈춤과 옛 모습 그대로 간직한 멋진 우리의 옛마을 하회마을등만 봐서도 안동에 대해서 조금은 알 수 있답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어느 지방에 가면 그 곳의 유명한 맛집도 문화재만큼 사람들에게 호기심을 유발시키지요. 말로만 듣던 지역의 맛을 볼 수 있는 것만으로도 그지역의 문화를 조금은 알 수 있으니 말입니다. 여행을 하다보면 금강산도 식후경이란..

경상북도 2009.02.28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