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4740

조용하고 때묻지 않은 작은 어촌마을.. 마량.

여행지를 정해서 다니기 보다는 발길 닿는대로 여행하는 것을 더 좋아한다. 조용하고 아늑한 분위기면 말이 필요없고.. 강진쪽으로 여행을 하다 마량이라는 작은 어촌마을에 들렀다. 잔잔한 바다와 갯벌이 어울어져 그 터전에서 삶을 영위해 나가는 사람들의 모습에 어촌마을의 넉넉한 풍경까지 느낄 수가 있어 나름 좋았던 곳이었던것 같다. 마량이라는 작은 어촌에는 김, 매생이등 해조류로 생활을 꾸려 나가는 분들이 많은 듯했다. 물론 이곳에서 전복양식으로도 유명해 많은 외지인들이 이곳에서 싱싱한 전복을 사 가지고 가는 곳으로도 유명하다. 살아 숨쉬는 듯한 갯벌.. 자연이 주는 보고인 셈이다. 그만큼 이곳 마량은 천혜의 살아 숨쉬는 어촌.. 사람들이 바다에서 생활 할 수 있는 생활터전이다. 한눈에 봐도 조용한 어촌이라는 ..

전라도 2009.02.13

제주도 해수욕장 어디까지 가 봤니? - 우도 서빈백사

우도 서빈백사 해수욕장 우도를 여행하다보면 바닷가 저멀리서 보면 백사장 전체가 하얀모래밭같이 보인다. 일반 해수욕장과는 달리 유난히 하얀색으로 보이는 이유는 바로산호초의 부서진 조각들이 모여 그렇게 보인다는..지금은 현재 이곳을홍조단괴해빈이라는 명칭으로 불리어지고 있고산호사 해수욕장이라고 불리기까지 한다.유난히 푸른 바닷물과 아름다운 풍경이 잘 어울리는 서빈백사.홍조단괴 해빈은 학술적가치가 인정되어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국가지정 문화재이다.얼마전에는 이곳에서 전지현이 출현했던 시월애의 촬영장소로 알려져 많은 관광객들이 아름다운 풍경을 보기위해 우도를 찾는다. 조용하고 아름다운 서빈백사의 풍경.. 산호해수욕장이라고 불리기도 한 이 곳은 여름이면 발 디딜틈이 없을 정도로 많은 사람들이 모여드는 곳이다. 속이 ..

낭만이 숨쉬는 순천만.( 포토 )

순천만. 자연과 인간이 공존하는 세계유일의 온전한 연안습지 순천만.. 천연기념물 흑두루미가 정겹게 하늘을 날고. 끝없이 펼쳐지는 갯벌과 갈대가 있어 더 멋진 풍경을 연출하는 순천만.. 많은 관광객들이 이 아름다운 자연의 보고를 보기위해 순천만에 모여든다. 순천만을 들러보면 대한민국생태수도 순천이라는 말의 의미를 느낄 수 있다. 일몰에 담으면 더 운치있어 시간 맞춰서 사람들이 전망대를 올라 멋진 사진을 담는 곳이 바로 이 사진이다. 푸른 하늘과 짙은 갈대가 더욱더 운치있게 느껴지는 순천만.. 어느 게절에 와도 아름답고 운치있는 순천만의 풍경을 감상할 수 있다. 순천만 갯벌에서 본 작은 섬. 운치있게 떠 있는 섬이 정말 아름답다. 짙은 갈색이 더욱 멋진 순천만.. 겨울과 봄 사이에는 이렇게 아름다운 색깔의 ..

전라도 2009.02.13

연인과 함께 걸으면 좋은 보성녹차밭 삼나무길..

삼나무길을 걷노라면 마음까지 넉넉한 느낌이 듭니다. 곧고 길게 뻗은 삼나무들은 세월의 흐름만큼 더욱 운치가 있는 듯 하구요. 사계절 내내 푸르름을 간직한 삼나무.. 삼나무가 우거진 곳에 걷노라면.. 겨울엔 포근함을 여름엔 시원함을 느끼게 해주는 아름다운 숲길입니다. 조용한 분위기로 운치있는 모습을 보여주는 삼나무숲길은 사랑하는 연인과 함께 걸으면 더욱 기억에 남는 길이 될 듯 합니다. 삼나무 고유의 향기를 느낄 수 있는 삼나무숲길.. 건강해지는 느낌까지 드네요. 삼나무 숲길에 웬 표지판?!.. 사람들의 안내를 도와주는 길 안내판이네요. 재밌는 표지판이 더욱 낭만적인 삼나무 숲길의 운치를 더해 주는 듯 합니다.

전라도 2009.02.12

낙안읍성을 둘러 보니 조선시대로 돌아간 느낌이...

낙안읍성에서 본 마을풍경. 낙안읍성은 우리의 세시풍속과 통과의례 등 전통 생활문화를 지키면서 주민이 직접 살고 있는 민속마을이다. 아침일찍 전라도를 향하여 출발하면 늘 순천을 거쳐 몇 군데 구경하다 보면 오후 늦은시간이라 넉넉한 마음으로 구경을 제대로 하지 못했는데.. 이번에는 나름대로 시간대를 잘 맞춰서 도착해 나름 여유있게 구경을 할 수 있었다. 올때마다 그저 마을내에 잠깐 구경할 뿐이었는데.. 이번에는 넓은 낙안읍성을 한바퀴돌며 마을 전경을 구경하였다. 민속마을은 성곽 1,410m를 비롯하여 조선시대의 관아와 9동의 중요민속자료 등 민가와 한국전래의 토속적인 민속경관이 잘 보존되어 있다. 성곽을 올라가 보니 제법 넓은 길이 펼쳐졌다. 높은 곳이라 조금 겁이 날 것 같았는데.. 길이 넓어 그렇지 않았..

전라도 2009.02.12

천혜의 낚시터로 이름난 강진 마량항..

강진 마량항의 아침풍경. 전라도를 여행지로 정해서 다니다 보면 마음까지 넉넉해지는 듯 하다. 조용한 시골 풍경과 어촌 풍경을 그대로 느낄 수 있어 복잡한 도심에서 느끼지 못한 여유까지 느끼며 여행할 수 있어 난 전라도여행이 다른 어느 여행지보다 더 좋다. 아직 많이 발전되지 않아 조금은 불편한 곳도 있지만 예전에 비하면 나름대로 시대에 맞게 이제 조금씩 변하는 것 같기도 하다. 전라남도에 위치한 강진에 위치한 마량항.. 언제가 두어번 지나가는 길에 잠깐 들린 곳인데.. 내 기억으로는 나름대로 좋게 기억되었나보다. 예전보다 많이 발전된 마량항을 보니 새롭기도하다. 마량항은 광주에서 강진을 지나 우리나라 서남부 최남단에 위치해 있으며 완도 다도해 및 제주도를 연결하는 청정해역으로 돔, 농어, 우럭등 바다낚시..

전라도 2009.02.11

옛 향수를 그대로 느낄 수 있는 보수동 책방골목..

보수동 책방골목.. 보수동 책방골목에 가면 세월이 흐른 흔적이 보이는 책들로 가득차다. 서가를 빼곡이 채운 손때 묻은 책들에서 느끼는 감정이 그러하고, 골목을 이리저리 오래된 책을 보러 다니는 사람들의 걸음걸이에서도 세월은 변함없이 묵은 향기를 터뜨린다. 옛부터 어른 키 넘는 책탑이 즐비해 있는 보수동 책방골목.. 워낙 책이 많다보니 책꽂이에 꽂힌 책보다 쌓아 놓은 책이 더 많다하여 그런 말이 붙어졌다. 쌓아 놓은 책이 높아서 책탑 또는 책무덤이라고도 일컫는다. 그리고 책꽂이에 꽂는 것보다 세로로 쌓는 게 더 공간 이 절약되기 때문에 지금도 세로로 쌓은 곳이 많다. 쌓아 놓은 책들은 대부분 끈으로 묶어져 있다. 책탑은 보통 일본의 헌책방골목에서도 흔히 볼 수 있는데, 일본의 경우 목록을 적어 놓은 것이 ..

부산 2009.02.11

새(곤줄박이)를 이용해 장사를 하시는 아저씨..

며칠전 범어사에 갔었습니다. 정월대보름을 즈음한 휴일이라 많은 사람들이 범어사에 오셨더군요. 물론 뭔가를 마음속으로 빌러 오시는 분들도 계시지만.. 범어사주위의 등산코스(금정산)가 있어 휴일이면 등산객들도 많이 오시지요. 저야 그냥 봄이라 구경..ㅎ 범어사에는 친정엄마 49제를 지낸 곳이라 한달에 몇 번 들릴 정도로 자주 온답니다. 자주 오는 곳이지만 늘 푸근한 마음이 사찰이라 더 정감이 가는 곳이랍니다. 이곳 저곳 구석 구석 봄기운의 정취를 느끼며 구경을 하며 사진을 찍고 있는데.. 엿을 파는 아저씨가 절 부릅니다. " 아가씨... 이리 와 봐요!.." 엥~! 난 모른척하며 뒤를 돌아다 보았습니다. 물론 아줌마라고 하면 돌아 보지 않았겠지만.. ㅋㅋ " 왜..그러시는데요?." " 사진만 찍지말고 신기한..

생활속 기사 2009.02.11

낙동강하구 을숙도 철새들의 모습..( 포토 ).

낙동강 을숙도 철새도래지에 철새를 보러 갔습니다. 날이 포근해서 그런지 많은 사람들이 낙동강하구에 위치한 을숙도에 오셨답니다. 허허 벌판이지만 가족들과 함께 많이 구경 오셨더라구요. 을숙도에 들어서면 낙동강하구에코센터가 입구에 있습니다. 낙동강하구에코센터는 낙동강하구의 생태에 대한 자료를 알기 쉽게 전시하고 학생과 시민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자연 학습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조류와 습지생태를 연구. 조사하는 전시 .학습. 연구기관으로 부산시 산하 사업소입니다. 에코는 환경. 생태. 서식지를 의미하는 Ecology의 줄임말입니다. 강과 바다가 만나는 낙동강하구에서 사계절 철새를 만날 수 있어 언제나 사람들의 발길이 끊이질 않는 곳이지요. 에코센터옆에 위치한 장승들과 솟대. 낙동강하구 을숙도 철새도래지의 철새들을 ..

부산 2009.02.11

외돌개의 아름다운 절경 속엔 아픈 역사가...

대장금 촬영지 외돌개 대장금은 2003년 최고의 시청률을 올린 드라마로, 지금부터 500년전인 조선시대 한 여성의 이야기입니다. 드라마 속에서 서장금 ( 이영애 )은 현실의 온갖 어려움을 뛰어난 의술과 높은 학식으로 이겨내고 결국 중종임금으로 부터 대장금이라는 칭호까지 얻게 됩니다. 외돌개는 드라마 속에서 장금을 친딸처럼 아껴주던 스승인 한상궁 ( 양미경 )이 억울한 누명을 쓰고 제주도로 유배가던 도중 장금의 등에 업혀 죽음을 맞이하는 장면이 연출되었습니다. 예전에는 많이 찾지 않았던 외돌개가 텔레비젼에서 드라마로 유명해져 입소문으로 인해 국내관광객들뿐만 아니라 외국인 관광객도 외돌개를 많이 찾는 답니다. 아름다운 자연 절경을 자랑하는 외돌개의 풍경.. 외돌개의 높이는 20m로 삼배봉 남쪽 기슭에 있습니..

제주도 2009.02.10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