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436

제주도 해수욕장 어디까지 가 봤니? - 우도 서빈백사

우도 서빈백사 해수욕장 우도를 여행하다보면 바닷가 저멀리서 보면 백사장 전체가 하얀모래밭같이 보인다. 일반 해수욕장과는 달리 유난히 하얀색으로 보이는 이유는 바로산호초의 부서진 조각들이 모여 그렇게 보인다는..지금은 현재 이곳을홍조단괴해빈이라는 명칭으로 불리어지고 있고산호사 해수욕장이라고 불리기까지 한다.유난히 푸른 바닷물과 아름다운 풍경이 잘 어울리는 서빈백사.홍조단괴 해빈은 학술적가치가 인정되어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국가지정 문화재이다.얼마전에는 이곳에서 전지현이 출현했던 시월애의 촬영장소로 알려져 많은 관광객들이 아름다운 풍경을 보기위해 우도를 찾는다. 조용하고 아름다운 서빈백사의 풍경.. 산호해수욕장이라고 불리기도 한 이 곳은 여름이면 발 디딜틈이 없을 정도로 많은 사람들이 모여드는 곳이다. 속이 ..

외돌개의 아름다운 절경 속엔 아픈 역사가...

대장금 촬영지 외돌개 대장금은 2003년 최고의 시청률을 올린 드라마로, 지금부터 500년전인 조선시대 한 여성의 이야기입니다. 드라마 속에서 서장금 ( 이영애 )은 현실의 온갖 어려움을 뛰어난 의술과 높은 학식으로 이겨내고 결국 중종임금으로 부터 대장금이라는 칭호까지 얻게 됩니다. 외돌개는 드라마 속에서 장금을 친딸처럼 아껴주던 스승인 한상궁 ( 양미경 )이 억울한 누명을 쓰고 제주도로 유배가던 도중 장금의 등에 업혀 죽음을 맞이하는 장면이 연출되었습니다. 예전에는 많이 찾지 않았던 외돌개가 텔레비젼에서 드라마로 유명해져 입소문으로 인해 국내관광객들뿐만 아니라 외국인 관광객도 외돌개를 많이 찾는 답니다. 아름다운 자연 절경을 자랑하는 외돌개의 풍경.. 외돌개의 높이는 20m로 삼배봉 남쪽 기슭에 있습니..

제주도 2009.02.10

영화 '쉬리'의 마지막 장소에서 바라 본 풍경..

영화 '쉬리' 의 마지막 촬영 장소로 유명한 곳.. 제주 중문해수욕장이 한 눈에 보이는 호텔에서 담은 풍경입니다. 이국적인 풍경의 제주도.. 여름철에도 조용해 쉬러 오시는 분들이 많은 곳이기도 하지요. 바닷가 주변 백사장에는 야자수가 이국적인 풍경을 연출하기도 한답니다. 넘실거리는 파도와 주변환경. 한참을 보고 있노라면 여기가 무릉도원같은 느낌이 들어 한 며칠 쉬었다 오고 싶을 정도로 운치가 묻어 있답니다. 겨울이라 더 운치있는 중문 해수욕장 풍경.. 중문해수욕장을 바라볼 수 있고 호텔주변을 산책하다 보면.. 우리나라 최고의 영화 ' 쉬리 '의 마지막 촬영지인 한 장소가 나온답니다. 한석규와 김윤진의 마지막 대화를 나눈 '쉬리' 영화를 찍었던 한 벤치.. 이곳에 앉으면 누구라도 영화를 찍는 듯한 분위기를..

제주도 2009.02.08

굴 속의 특이한 사찰 .. 산방굴사.

산방산.. 산방산은 한라산 백록담에 있던 봉우리가 뽑혀 던져졌다는 전설이 어린 산이다. 산방산은 높이 395m의 기암절벽으로 이루어 졌으며, 산 남쪽 중턱의 산방굴사는 영주 10경의 하나이다. 이 굴사는 고려시대 이후부터 불상을 모셔서 수도해온 곳이다. 산방산의 암벽에는 지네발난, 풍란 등 귀중한 암벽식물이 자생하고 있다. 그리고 산 정상부에는 구실잣밤나무, 후박나무, 생달나무 등 난대림이 원형으로 보존되어 있고, 암벽의 하단에는 소사나무, 돈나무, 까마귀족나무 등 해안식물이 다양하게 자생하고 있다. 특히 제주도에서는 섬회양목의 유일한 자생지다. 해안에는 속칭 용머리 해안과 하멜기념비가 있고, 인근 마을은 대정에는 대정성지, 대정향교, 추사 김정희선생 적거지(謫居址) 등 많은 문화유산이 산재하고 있다. ..

제주도 2009.02.06

겨울과 봄을 동시에 느낄 수 있는 아름다운 제주도..

가을과 겨울의 풍경을 함께 볼 수 있는 곳이 바로 제주도인 것 같습니다. 바로 앞에 보이는 산 허리에는 눈이 소복히 쌓여 있고 길가 곳곳에는 샛노란 유채꽃이 활짝 핀 것을 보니 말입니다. 이곳은 산방산근처인데요. 지나가는 길에 너무도 아름다운 풍경이라 사진기에 담아 왔습니다. 사진으로 보기에도 겨울이라는 느낌이 들정도로 추워 보이는데.. 하얀 눈을 덮어 쓴 채 유채꽃이 기지개를 펴는 모습에 신기하기까지 하더라구요. 이 모습을 보니 제주도에 신혼여행을 오시는 신혼부부들이 생각납니다. 돌담이 울타리인 제주도의 유채꽃밭.. 이 하나의 사진으로 봐도 제주도란 느낌이 든답니다. 많은 관광객들이 아름다운 유채꽃 향기에 기념사진을 찍을려고 지나가다 차를 세웁니다. 제주도는 전체가 샛노란 유채꽃 광장이었습니다. 이곳은..

제주도 2009.02.05

에메랄드빛 바닷물과 주상절리의 아름다운 조화..

주상절리.. 용암이 흐르다가 바다와 만나면서 굳을때 육각 기둥모양으로 굳어져 생긴 지형을 말합니다. 주상절리는 기둥모양(주상)의 나눠진 금(절리)입니다. 화산용암이 차가운 바닷물과 만나서 만들어진 걸작이지요. 주상절리가 많이 생성되는 지대 주로 화산지대입니다. 주상절리의 생성과정 삼각형이나 육각,칠각형의 기둥이 형성되는 이유는 급격한 온도 변화에 의하여 마그마의 표면이 급속도로 식어서 굳죠. 그러면 내부의 마그마는 외부의 온도 하강으로 굳어진 벽을 뚫지못하고 그 대로 굳어지고 그것은 수직방향으로 갈라 집니다. 기둥 형태의 모양을 나타 내게 되는 겁니다. 온도가 낮아지면 마그마 성분이 수축작용을 하게 되며 이때의 힘의 균형으로 거의 정육각형의 형태로 변하게 됩니다.. 주상절리의 아름다운 풍경. 바다속이 훤..

제주도 2009.02.05

제주 바다를 보며 즐기는 노천탕을 아시나요?..

우물명.. 석경감수 ㅡ 일명 과물이라고 불리우는 노천탕입니다. 석경은 우물 위치 지명이고 감수는 물맛이 좋아 위치와 맛을 뜻하여 석경감수라 합니다. 일명 과물 이라 부르며 약 200년이래 조상들은 이 우물을 식수로 이용하였으며 이웃마을 남읍 화전마을까지 가뭄에 이 우물을 담는 토기를 물구덕에 넣어 부녀자들이 등에 지고 다녔습니다. 1960년대에 상수도가 가설됨으로 인하여 식수로 사용은 않지만 언제든지 마실 수 있는 천연 지하수입니다. 또한 도내에 여름철 해수욕장 중 유일하게 여인들이 노천탕으로 이용하는 곳이기도 합니다. 이를 기리기 위하여 물허덕 진 여인상과 해녀상을 만들어 세워 후세에 알리고자 입구에 세워 두었다고 합니다. 제주바닷가에 설치된 물구덕을 지고 있는 부녀자들의 돌상.. 과물 노천탕.. 바닷..

제주도 2009.02.04

눈 덮힌 송악산의 절경...

제주도 송악산의 겨울 풍경 송악산에 도착했을때는 무릉도원에 온 듯한 착각에 빠졌답니다. 사람의 흔적을 볼 수 없는 눈 덮힌 송악산의 풍경.. 꿈 속을 거니는 듯한 느낌에 잠시 아무 생각도 할 수 없을 정도였답니다. 99개의 작은 봉우리가 모여 일명 99봉이라 불리우는 송악산은 정상에서 보이는 최남단의 마라도와 가파도, 형제섬, 우뚝 솟은 산방산, 멀리 보이는 한라산, 그리고 끝없는 태평양을 보고 있으면 감탄이 절로 나온답니다. 아름다운 풍경이 한눈에 보이는 송악산.. 눈이 많이 내린 겨울에는 더욱 운치있는 풍경이 더 멋진 모습으로 기억되는 곳이랍니다. 설원위의 송악산 전경.. 그림같은 풍경이 펼쳐집니다. 송악산에서 여유로운 시간을 보내고 있는 말들의 모습도 아름답기까지 하답니다. 낭만적인 풍경의 송악산 ..

제주도 2009.02.03

우도의 절경에 빠져 드는 이유가 있었네요~!..황홀한 우도풍경..

우도의 겨울 풍경 우도.. 느릿느릿 소를 닮은 섬 제주의 부속 도서 중 가장 많은 관광객과 도민이 찾는 제주의 동쪽바다를 지키는 섬 우도! 작은 제주 우도의 아름다움 정말 감탄사가 입에서 절로 나온답니다. 성산에서 배를 타고 10분정도면 아름다운 옥빛 바다 우도를 만날 수 있습니다. 바다를 보면 정말 황홀경에 빠질 정도랍니다. 소가 누워 있는 모습과 비슷하다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아직도 자연의 순수함을 간직하고 있고, 곳곳에 해안절경이 펼쳐져 있어 많은 사람들이 찾는 제주의 대표적인 부속섬입니다. 우도의 검멀레해안.. 우도의 동쪽 해안. 영일동에서 볼 수 있는 검은 모래로 이름난 검멀레해안 햇빛을 받아 반짝이는 검은 모래는 서빈백사와는 다른 의미로 탄성을 자아냅니다. 후해석벽.. 높이 20m 정도의 우도..

제주도 2009.01.3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