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제주도 420

제주도 '무'를 보고 빵 터진 이유..

제주도 '무' 는 특별했다 " 이것이 바로 제주도 '무' 다! " 라고 할 만큼 보자마자 빵 터지는 비쥬얼이었습니다. 지금껏 밭에 있는 무를 많이 봤지만 이렇게 자라는 무도 있구나하는 생각에 그저 웃음이 나더군요. 도대체 어떤 모습이었길래 이렇게 포스팅 서두를 재밌다라는 표현으로 장식할까...그 속으로 들어가 볼까요.. 저 멀리 노란 선같이 보이는 것은 무엇일까? 바로... '무' 입니다. 어찌나 정교하게 한 줄로 잘 자라는지 그저 신기할 따름입니다. 근데... '무'를 보는 순간 뭔가 이상한 느낌이 쏴~~~ 대충 감이 잡히시나요? 눈썰미가 있는 분은 첫 사진을 보자마자 빵 터졌을지도 모릅니다. 제주도의 '무' 자라는 모습이 그저 신기하게 느껴지는 이유는 다른 곳의 ' 무' 밭에서 보던 모습과 다르다는 ..

부산아지매의 제주도에서 집 구하기!

제주도에서 집 잘 구하는 방법 5년 전까지만 해도 제주도 집값이 이렇게 높지 않았던 것 같은데 불과 몇 년 사이 단위로 엄청난 가격으로 올라 집을 구하려는 사람들이 '하늘의 별따기' 말을 할 정도로 도심에서 집 구하는 것보다 더 어렵다고 합니다. 아마도 중국사람들이 영주권을 명목으로 제주도로 몰려와 부동산등 각종 투자를 많이 하면서 벌어진 것도 큰 몫을 차지하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20년 후엔 제주도가 중국정원이 될거란 소문까지 날 정도이니 큰 일입니다. 거기다 아름다운 자연환경과 도심과 다른 공기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동경하고 가고파하는 제주도라 사람들이 몰리는 원인이 되기도 한 것 같습니다. 저 또한 그런 마음을 7년 전 제주도 여행에서 남편과 꿈꿔 왔던 일이기도 했습니다. 그렇게 세월이 흘러..

한겨울이지만 제주도는 봄향기가 가득...

제주도 유채꽃 향기에 흠뻑 취한 한겨울 여행길 오래전에 기억으론 2월말 정도에 유채꽃이 활짝 폈던 것 같은데 1월 중순에 유채꽃이 활짝 핀 것을 보고 역시 제주도는 우리나라에서 제일 따뜻한 곳임에 틀림이 없구나하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부산도 나름대로 따뜻한 날씨지만 바닷바람때문에 체감온도가 내려가 춥게 느껴지지만 역시 제주도는 부산보다 더 따뜻했습니다. 여행 오기 전 부산의 날씨가 무척 추워서 그런지 제주도 여행하는 내내 바람까지 불지 않아 따뜻한 봄날이었습니다. 다행인 것은 그 무시무시하다는 제주도 바람이 불지 않아 더 포근한 여행길이었는지도 모르겠네요. 다른 지역은 얼음이 얼고 눈이 오는 지역이 많은데 제주도는 꽃이 피는 봄날 그자체였습니다. 가는 곳마다 유채꽃이 만발해 한겨울에 봄의 향기를 느..

제주도 2015.01.29

여기가 바로 제주도에 있는 다음카카오 본사야!

제주도 다음카카오 본사에 직접 가 보니.. 제주도 여행 10일째........오늘은 다음카카오 제주본사에 가 보기로 했습니다. 대부분 각종 기업체 본사라고 하면 서울쪽이 많은데 Daum은 본사가 제주도에 있더라구요.. 예전에 말만 들었었는데 직접 가보니 새롭고 좋았습니다. 무엇보다도 인터넷하는 돌하르방이 있어 또 하나의 볼거리더군요. 제주도에 많은 하르방이 있지만 왠지 더 특별해 보이는 부분이기도 했습니다. 근데...검색을 제대로 안 한 탓일까........ 제주도 다음본사라고 검색하면 두 곳이 나오는데 한 곳은 다음서비스 본사이고 한 곳은 제가 가고자하는 다음카카오 본사인데 전 다음서비스가 있는 곳으로 고고씽...ㅋㅋ 참고로 ..다음카카오 본사 주소는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첨단로 242입니다. 근데....

제주도 2015.01.22

제주도 해수욕장 어디까지 가 봤니? - 우도 서빈백사

우도 서빈백사 해수욕장 우도를 여행하다보면 바닷가 저멀리서 보면 백사장 전체가 하얀모래밭같이 보인다. 일반 해수욕장과는 달리 유난히 하얀색으로 보이는 이유는 바로산호초의 부서진 조각들이 모여 그렇게 보인다는..지금은 현재 이곳을홍조단괴해빈이라는 명칭으로 불리어지고 있고산호사 해수욕장이라고 불리기까지 한다.유난히 푸른 바닷물과 아름다운 풍경이 잘 어울리는 서빈백사.홍조단괴 해빈은 학술적가치가 인정되어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국가지정 문화재이다.얼마전에는 이곳에서 전지현이 출현했던 시월애의 촬영장소로 알려져 많은 관광객들이 아름다운 풍경을 보기위해 우도를 찾는다. 조용하고 아름다운 서빈백사의 풍경.. 산호해수욕장이라고 불리기도 한 이 곳은 여름이면 발 디딜틈이 없을 정도로 많은 사람들이 모여드는 곳이다. 속이 ..

외돌개의 아름다운 절경 속엔 아픈 역사가...

대장금 촬영지 외돌개 대장금은 2003년 최고의 시청률을 올린 드라마로, 지금부터 500년전인 조선시대 한 여성의 이야기입니다. 드라마 속에서 서장금 ( 이영애 )은 현실의 온갖 어려움을 뛰어난 의술과 높은 학식으로 이겨내고 결국 중종임금으로 부터 대장금이라는 칭호까지 얻게 됩니다. 외돌개는 드라마 속에서 장금을 친딸처럼 아껴주던 스승인 한상궁 ( 양미경 )이 억울한 누명을 쓰고 제주도로 유배가던 도중 장금의 등에 업혀 죽음을 맞이하는 장면이 연출되었습니다. 예전에는 많이 찾지 않았던 외돌개가 텔레비젼에서 드라마로 유명해져 입소문으로 인해 국내관광객들뿐만 아니라 외국인 관광객도 외돌개를 많이 찾는 답니다. 아름다운 자연 절경을 자랑하는 외돌개의 풍경.. 외돌개의 높이는 20m로 삼배봉 남쪽 기슭에 있습니..

제주도 2009.02.10

영화 '쉬리'의 마지막 장소에서 바라 본 풍경..

영화 '쉬리' 의 마지막 촬영 장소로 유명한 곳.. 제주 중문해수욕장이 한 눈에 보이는 호텔에서 담은 풍경입니다. 이국적인 풍경의 제주도.. 여름철에도 조용해 쉬러 오시는 분들이 많은 곳이기도 하지요. 바닷가 주변 백사장에는 야자수가 이국적인 풍경을 연출하기도 한답니다. 넘실거리는 파도와 주변환경. 한참을 보고 있노라면 여기가 무릉도원같은 느낌이 들어 한 며칠 쉬었다 오고 싶을 정도로 운치가 묻어 있답니다. 겨울이라 더 운치있는 중문 해수욕장 풍경.. 중문해수욕장을 바라볼 수 있고 호텔주변을 산책하다 보면.. 우리나라 최고의 영화 ' 쉬리 '의 마지막 촬영지인 한 장소가 나온답니다. 한석규와 김윤진의 마지막 대화를 나눈 '쉬리' 영화를 찍었던 한 벤치.. 이곳에 앉으면 누구라도 영화를 찍는 듯한 분위기를..

제주도 2009.02.08

굴 속의 특이한 사찰 .. 산방굴사.

산방산.. 산방산은 한라산 백록담에 있던 봉우리가 뽑혀 던져졌다는 전설이 어린 산이다. 산방산은 높이 395m의 기암절벽으로 이루어 졌으며, 산 남쪽 중턱의 산방굴사는 영주 10경의 하나이다. 이 굴사는 고려시대 이후부터 불상을 모셔서 수도해온 곳이다. 산방산의 암벽에는 지네발난, 풍란 등 귀중한 암벽식물이 자생하고 있다. 그리고 산 정상부에는 구실잣밤나무, 후박나무, 생달나무 등 난대림이 원형으로 보존되어 있고, 암벽의 하단에는 소사나무, 돈나무, 까마귀족나무 등 해안식물이 다양하게 자생하고 있다. 특히 제주도에서는 섬회양목의 유일한 자생지다. 해안에는 속칭 용머리 해안과 하멜기념비가 있고, 인근 마을은 대정에는 대정성지, 대정향교, 추사 김정희선생 적거지(謫居址) 등 많은 문화유산이 산재하고 있다. ..

제주도 2009.02.06

겨울과 봄을 동시에 느낄 수 있는 아름다운 제주도..

가을과 겨울의 풍경을 함께 볼 수 있는 곳이 바로 제주도인 것 같습니다. 바로 앞에 보이는 산 허리에는 눈이 소복히 쌓여 있고 길가 곳곳에는 샛노란 유채꽃이 활짝 핀 것을 보니 말입니다. 이곳은 산방산근처인데요. 지나가는 길에 너무도 아름다운 풍경이라 사진기에 담아 왔습니다. 사진으로 보기에도 겨울이라는 느낌이 들정도로 추워 보이는데.. 하얀 눈을 덮어 쓴 채 유채꽃이 기지개를 펴는 모습에 신기하기까지 하더라구요. 이 모습을 보니 제주도에 신혼여행을 오시는 신혼부부들이 생각납니다. 돌담이 울타리인 제주도의 유채꽃밭.. 이 하나의 사진으로 봐도 제주도란 느낌이 든답니다. 많은 관광객들이 아름다운 유채꽃 향기에 기념사진을 찍을려고 지나가다 차를 세웁니다. 제주도는 전체가 샛노란 유채꽃 광장이었습니다. 이곳은..

제주도 2009.02.05

에메랄드빛 바닷물과 주상절리의 아름다운 조화..

주상절리.. 용암이 흐르다가 바다와 만나면서 굳을때 육각 기둥모양으로 굳어져 생긴 지형을 말합니다. 주상절리는 기둥모양(주상)의 나눠진 금(절리)입니다. 화산용암이 차가운 바닷물과 만나서 만들어진 걸작이지요. 주상절리가 많이 생성되는 지대 주로 화산지대입니다. 주상절리의 생성과정 삼각형이나 육각,칠각형의 기둥이 형성되는 이유는 급격한 온도 변화에 의하여 마그마의 표면이 급속도로 식어서 굳죠. 그러면 내부의 마그마는 외부의 온도 하강으로 굳어진 벽을 뚫지못하고 그 대로 굳어지고 그것은 수직방향으로 갈라 집니다. 기둥 형태의 모양을 나타 내게 되는 겁니다. 온도가 낮아지면 마그마 성분이 수축작용을 하게 되며 이때의 힘의 균형으로 거의 정육각형의 형태로 변하게 됩니다.. 주상절리의 아름다운 풍경. 바다속이 훤..

제주도 2009.02.0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