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부산 280

바닷가의 아름다운 사찰 용궁사..

해동용궁사는 옛부터 숫한 신비와 변화를 간직하고 바다와함께 해온 수당 법당입니다. 대개는 사찰이 산중 깊숙이 있는 것과는 달리 용궁사는 이름 그대로 검푸른 바닷물이 바로 발 아래서 철썩되는 바다위의 법당이지요. 멀리서 본 사찰의 모습은 정말 아름다움 그 자체였습니다. 용궁사 입구에 들어선 십이지신상... 그 옆에 시를 새겨 놓은 돌이 인상적입니다. 득남불. 배를 만지면 득남한다고 한다는데. . 얼마나 많이 만졌으면 새까맣네요..ㅎ 용궁사 내려가는 계단.. 바다가 시원스레 펼쳐져 마음까지 탁 트이는 느낌입니다. 용궁사의 전경. 바다를 배경으로 있는 불상.. 용궁사의 내력. 무한한 자비의 화신인 관세음보살님은 이런 바닷가 외로운 곳에 상주하여 용을 타고 화현하신다 하였습니다. 그래서 우리나라의 관음신앙이 해..

부산 2008.05.30

부산의 영도다리가 예전엔 들렸다는 사실 아시나요..?!.

일제시대(1934년)에 개통된 부산의 영도다리..이것은 우리의 아픈역사를 담고 살아온 오래된 부산의 다리로 유명하답니다. 지금은 부산을 대표하는 다리로 사람들이 기억을 하긴 하지만 점점 잊혀져가는 것이 아쉽기도 합니다. 일제시대때 건립된 영도다리는 하루 두번 시간만 되면 다리한쪽 상판이 들여 올려지는 신기한 다리로 그 시대뿐만 아니라 지금의 우리세대로 정말 신기한 다리로 기억된답니다. 12시와3시만 되면 다리 한편이 올라가고 그 아래에 배가 지나갈 수 있도록 통로를 만들어 주는 역활을 하기도 한 유명한 다리입니다. 영도다리가 올려지는 모습을 보기위해 부산사람뿐만 아니라 다른곳에서 온 관광객도 많이 찾던 곳... 그리고 그시절에는 모든건물이 낮아서 이곳에서 부산시내를 보면 지금의 부산우체국(중앙동)까지 보..

부산 2008.05.28

도심 속 녹지공간으로 잘 꾸며진 충렬사..

충렬사는 임진왜란때 왜적과 싸우다 장렬히 전사한 부산지방의 순절선열을 모신 곳입니다. 전쟁이 끝나고 조선 선조 38년(1605)에 동래읍성의 남문 안에 충렬공 송상현을 모신 송공사를 처음 세웠는데, 인조 2년 (1624)에 충렬사라는 이름을 임금이 직접 하사하였습니다. 현재 부산 지방에서 순절한 모든 분들의 위패를 모시고 있으며, 해마다 5월 25일에는 온 시민이 정성드려 제향을 올린답니다. 충렬탑. 임진왜란 당시 나라를 지키기 위하여 장렬하게 전사한 무명용사들이 수천명에 달하였다고 합니다. 임진왜란 항전을 상정한 이 충렬탑은 높이가 28.6m 이고 민, 관 , 군 , 봉수지기, 나팔수 , 여인을 새겨 임진왜란 당시 목숨을 아끼지 않고 조국과 민족을 수호했던 우리민족의 굳센 단결을 표상한 탑입니다. 학창..

부산 2008.05.28

도심 속의 전통 오일장 구경오세요~.( 구포시장 )

아직도 전통시장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는 구포시장.. 매달 3, 8일에 여는 장날은 아직도 많은 사람들이 찾는 도심 속의 재래시장입니다. 지금은 예전처럼 천막아래서 장사를 하는 것이 아니라 최신시설을 구비되어 재래시장을 꺼리는 젊은 사람들도 이용할 수 있도록 세련되게 꾸며져 있답니다. 새롭게 단장된 현대식 건물옆에는 옛날의 북적거렸던 천막으로 둘러싸인 시장도 같이 있어 현대와 과거의 모습을 동시에 느낄 수 있어 많은 볼거리가 있습니다. 어릴적 엄마 손잡고 사람들 다리사이로 구경하던 기억이 한번씩 구포시장에 오면 어렴풋이 떠오른 답니다. 어릴적에는 사람이 많은게 정말 싫었는데 지금은 그모습이 더 정겹게 느껴지네요.ㅎ 나도 지금은 그 옛날 엄마와 같은 나이에 들어서니 세월이 정말 많이 흘렀구나 하는 생각이 듭..

부산 2008.05.25

해운대 운촌공원을 아시나요?..

오늘 모임이 있어서 해운대를 향하는 길이었습니다. 날씨도 쾌청하고 며칠전 비가 와서 그런지 공기도 제법 신선하게 느껴졌어요. 가는 길에 이곳 저곳을 보며 가다 길 가로수 밑에 벤치가 눈에 들어 왔습니다. 약속시간도 여유있게 나와서 시간이 남아 그 주위를 사진에 담아서 가기로 했어요. 풍성한 나무아래 넉넉해 보이는 나무벤치.. 벤치에 앉아서 여유를 만끽하고 싶을 정도였답니다.^^ 도심 속의 여유로운 모습을 하고 있는 나무벤치. 이 곳은 해운대 동백섬으로 가는 길에 위치한 운촌공원입니다. 부산사람이라도 조금 이 곳 주위에 사는 사람이 아니고서는 그냥 지나치는 공원인데.. 오늘 약속시간도 여유있어 가는 길에 운촌공원을 사진기에 담기로 했습니다. 벤치에서 왼쪽으로 조금만 가다보면 운촌공원으로 내려 가는 길이 있..

부산 2008.05.21

부산의 유명한 관광명소...(1)

송정 부산시 해운대구 송정동의 송정 해수욕장은 송정천에서 운반되는 양질의 모래와 백합 등 조개껍질의 풍화작용으로 이루어진 해수욕장으로, 마치 잔구슬을 깔아놓은 듯한 모래톱을 가지고 있다. 경사는 아주 완만하고 수심은 얕으며, 파도가 거칠지 않아 가족 단위의 피서지로 적당하다. 여름엔 해운대 해수욕장, 광안리 해수욕장등 유명한 해수욕장에도 피서인들이 많이 오지만 이곳은 다른 해수욕장보다 조용한 편이라 가족단위의 피서객들이 많이 찾는 곳이다. 동백섬에서 본 달맞이동산. 동백섬은 부산의 해운대 해수욕장 남쪽 끝에 위치해 있다. 시민과 관광객들의 산책로로 알려진 동백섬은 동백나무와소나무가 울창한 자연경관이 아름다운 곳으로 육지와 연결된 육계도이다. 평상시에는 시민들의 운동을 할 수 있는 공간으로 많이 활용되고 ..

부산 2008.05.11

부산의 UN 묘지 ...

유엔 공원 입구에 있는 추모관.. 한국전쟁 유엔군 전몰장병들의 영령을 추모하기 위하여 1964년 8월 21일 유엔이 건립하였습니다. 한국의 유명한 건축가 김중업씨가 그들의 다양한 종교적인 배경을 감안해 설계 한 곳.... 유엔 공원의 입구.. 1950년 6월 25일 북한의 도발에 의한 한반도에 전쟁이 일어나자 한국을 돕기위해 참전한 16개국의 전투지원국과 5개국의 의료지원국의 유엔군 장병의 전사한 영령을 안치한 곳입니다. 경건한 마음이 가슴깊이 밀려오는 곳이었습니다. 유엔 기념공원은 안 가본 사람은 음산할 거라 생각하기 쉬운데.. 이곳은 공원의 개념에 가까울 정도로 휴식공간과 배경이 너무도 아름다운 곳입니다. 지나간 전쟁에 대해서 잊고 사시거나, 나라에 대한 사랑을 느낄 수 있는곳... 가족들과 함께오면..

부산 2008.05.09

유람선타고 태종대구경 해보실래요!~..

며칠 구름속에 하늘을 감추고 있더니.. 오늘 비로소 파란 하늘을 열어놨다. 날이 흐린뒤의 하늘이라 정말 깨끗한 느낌..아! 상쾌해~~. 그래서 간만에 유람선을 타고 태종대를 한바퀴 유람을 하였다. 유람선을 기다리다가 이곳저곳 둘러 보았는데.. 관광지라서 그런지 사람들도 많고, 천막이 줄줄이 들어선 횟집도 활기찬 모습들이었다. 이 곳은 하일리 횟집촌으로 유명하다. 하일리 횟집촌은 1950년 후반에 조성되어, 현재는 유명한 횟집으로 많이 알려져있다. 하리항과 인접하여 인근해안에서 잡은 활어를 값싸고 싱싱하게 먹을 수 있는 곳이기도하다. 바다라 그런지 바람도 많이 불었다. 이쁘게 차려 입고 나갔더니 ..헐~ 스타일 다 구겨지고..ㅎㅎ 그래도 간만에 나왔는데 열심히 아름다운 바다를 카메라에 담아가야지!.. (태..

부산 2008.05.08

대한불교 천태종 삼광사의 웅장함..

대한 불교 천태종 삼광사... 삼광사에서는 석가모니, 관세음보살,대세지보살, 상월원각대조사님을 모신 대웅전을 비롯하여 1만여명이 동시에 입장하여 대법회,문화행사를 봉행할 수 있는 지관전, 법화삼매당, 국가민안기원대범종각, 세계인류 평화와 남북 통일기원 53존불 8면 9층대보탑 지장전으로 이루어져 있다. 초현대식과 옛 전통의 적절한 조화 속에 불교의 현대화, 대중화,세계화를 이끌어 가는 곳이 바로 이곳 부산 삼광사이다. 대웅보전. 지관전.. 1만53불을 봉안한 대강당과 3천명이 함께 앉아 관음 정진할 수 있는 기도실. 부산 불교대학,삼광 한글학교및 도서실 그리고 최첨공학의 오디오,비디오시스템과 컴퓨터조명및 세계 각국어 동시 통역시설이 갖춰진 초현대식 문화회관이다. 넓은 시설에 잘 알리고 있는 푯말... 멀..

부산 2008.05.08

도심속의 달동네..

어린이 날이 되니 갑자기 달동네의 아이들이 생각이 났다. 내가 얼마전에 연산동의 물만골이란 곳에 갔었다. 시간이 흐르니 조금씩 머리속에서 잊혀져 갔는데.. 텔레비젼에서 소외된 아이들에 관한 이야기가 나오니 문득 물만골의 아이들이 눈에 아른거렸다. 잘 지내고 있을까?.. 도심 속에 꼭꼭 숨어있는 산 속의 한 마을.. 물만골은 굉장한 고지대이다. 그래도 사람들이 많이 모여 살다보니 마을버스도 다니는 곳.. 아직도 발전의 손길이 미흡한 곳이다. 그래도 요즘에는 개발의 바람이 불어 조금씩 추진해 나가고 있어 다행이다. 주위의 낡은 집에서 오랜세월 살아온 주민들..공동체의 생활 개념으로 열심히 살고 있다. 이곳 물만골은 예전에는 자체적으로 교육,의료등 모든 것을 이 곳 물만골마을에서 해결하며 살아왔다. 물만골에는..

부산 2008.05.0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