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렇제..나도 나는데.."
" 금방 불 갈았나? "
" 아니 ..아까(시간이 좀 됐다는 의미).."
" 근데 왜 이렇게 냄새가 계속 나지?!.."
얼마전부터 가게안에 연탄을 갈때 일시적으로 나오는 일산화탄소 냄새가
연탄이 활활 타는대도 계속 나는 것 같더군요.
그래서 일부러 환풍기도 더 틀고 신경을 많이 썼답니다.
날 춥다고 환기도 잘 안하고 그러면 아무래도 위험할 것 같은 예감때문이었지요.
" 이상하네.. 왜 그렇지?! "
도저히 안되겠다 싶어 날을 잡아 한번 점검해 보기로 했답니다.
일단 연탄위의 철망을 제거 한 후 어디가 막혔는지 일일이 점검해 보기로 했지요.
사실 겉으로 보기엔 아무 이상이 없었기때문에 속부터 점검했답니다.
" 희한하네...안도 이상이 없는 것 같은데...."
" 자세히 봐봐...어...저기 봐.. 연기 빠져 나가는 부분이 막힌 것 같은데.."
" 진짜네... "
남편과 꼼꼼히 점검해 본 결과 연기가 빠져 나가는 부분이 막혀 있었습니다.
연탄냄새가 나는 원인을 알고 난 뒤 남편은 바로 막힌 부분을 확인하고자
연통을 분리해 보기로 했습니다.
그런데 이게 뭥미?!......
겉이 멀쩡하던 연통이 작은 힘에도 순식간에 부서지더군요.
" 그럼 그렇지..이렇게 꽉 막혀 있으니 연탄냄새가 날 수 밖에..."
저 또한 남편만큼 연통 속을 보고 놀랐답니다.
겉은 새것처럼 보여도 안은 완전 막히고 삭아서 연통구실을
제대로 하지 못한 상태였습니다.
물론 연통을 연결하는 부분도 거의 반이상 꽉 막힌 상태였구요.
뚝딱 너무도 쉽게 연통을 연결하는 남편을 보니 왠지 맥가이버 같은 느낌도 쏴~..
여하튼 새 연통으로 교체해 이제는 연탄가스 냄새때문에 신경을 안쓰게 되었고..
예전처럼 주전자에 물도 데우고 삶은 감자도 올려두고 있습니다.
작은 가게이지만 사람들이 자주 드나 들다보니 날씨가 춥다고 하루종일
히터를 틀고 있자니 전기세가 장난이 아니고..
그렇다고 기름값이 장난이 아닌데 기름을 넣어 따뜻하게 하는 난로를 둘 수도 없고..
그래서 생각해 낸 것이 가격이 저렴한 연탄난로였습니다.
워낙 경제관념이 확실히 박힌 알뜰한 남편이기에 조금은 시대에 뒤떨어져
보여도 연탄난로가 어느 난방기구보다 좋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가격도 저렴하고 하루종일 따뜻하게 보낼 수 있고..
무엇보다도 옛날 추억도 느낄 수 있어 좋습니다.
물론 따뜻하게 겨울을 보낼려면 연통도 한번씩 교환해줘야 한다는
사실을 이번 기회에 알게 되었구요.
여하튼..연탄가스때문에 연탄난로를 치울까 생각도 했지만 원인을 알고
난 뒤 잘 수리해서 사용해 보니 이만큼 저렴하고 좋은 난방기구는 없는 듯 합니다.
경제적이고, 따뜻하고, 운치있고......ㅎ
만약 연탄난로를 사용하고 있는 분이라면..
연탄타는 냄새가 계속 난다고 느껴지면 연통부터 점검해 보시길 바랍니다.
- 이전 댓글 더보기
시간이 멈춘 듯 옛모습을 그대로 간직한 매축지마을의 겨울준비는..
매축지 마을의 겨울 준비
이곳 매축지마을은 정말 다른 달동네의 모습과 사뭇 다르게 느껴졌다.
물론 달동네처럼 세월의 흔적을 엿 볼 수 있는 곳이라는 공통점은 가지고 있지만
지리적 역사적 의미가 더 깃든 곳이라는 것이 그대로 느껴지는 곳이었다.
이곳은 일제강점기에 지어진 곳이라 유난히 나무집들이 많은 매축지마을은
골목안에 다닥다닥 붙은 3평 남짓해 방한칸에 부엌으로 사용할 수
있는 공간이 있을 정도로 열악한 환경이다.
물론 화장실은 공동화장실을 아직도 사용하고 있는 곳이기도 하다.
사실 시내를 갈때마다 이곳 주위를 자주 지나다녔지만 이런 곳이 있다는 것을
불과 얼마전에 다큐 3일이란 방송을 통해 알게 되었다.
'부산에 아직도 이런 곳이 있었나?' 할 정도로 솔직히 충격이었다.
다른 지역과 달리 유난히 부산에 달동네가 많지만 평지에 이런 곳이
있다는 사실에 정말 놀랐었다.
무엇보다도 아직도 많은 사람들이 이곳 매축지마을에서 거주하고 있다는 사실..
높은 빌딩과 고층아파트를 사이에 두고 있는 매축지마을 ..
여전히 이곳은 시간이 멈춰진 옛 모습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었다.
그럼 오늘은 과거로의 여행..
매축지마을 사람들의 겨울나기에 대해 이야기 해 볼까한다.
오지마을처럼 느껴졌던 매축지마을..
지금껏 사람들이 그냥 지나쳤던 골목 골목 사이는 지금의 발전된 주위 풍경과
너무도 대조적인 모습이다.
매축지마을 바로 앞에는 버스정류장도 눈에 띄지 않을 정도니까..
자동차가 없다면 이곳 매축지마을을 찾기가 영 쉽지 않아 보였다.
마치 골목길에 들어서니 과거로의 타임머신을 타고 내린 기분마져 들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눈에 띈 것은 곳곳에 연탄을 담은 통이 있다는 것이다.
처음엔 집 앞에 물통이 여러개 있길래 물을 담아 놓은지 알았다.
시설이 열악해 수도가 안 들어 오는가하는 생각까지 하게 했다.
하지만 다행히도 수도는 건물마다 있는 것 같았다.
물론 수도 설치가 집안이 아닌 밖에 설치가 되어 있어 영하로 떨어지는
겨울에는 꽁꽁 얼어 사용할 수 없을 것 같았다.
그리고 배수로 시설도 좋아 보이지 않았다.
물이 제대로 빠지지 않아 곳곳에 고인 물들이 눈에 띄었다.
거기다 다닥다닥 붙은 집들때문에 햇볕은 거의 들지 않은 상태였다.
낮인데도 골목길안은 어두침침해 보일 정도..
골목길을 거닐다 보니 왠지 시간이 멈춘 듯한 착각까지 들게 했다.
무엇보다도 내 어린시절보다 더 오래된 과거의 모습같았다.
집집마다 큰 물통안엔 따뜻한 겨울을 보내기위한 연탄이 가득한 것을 보니..
내 어린시절 겨울준비는 연탄을 가득 창고에 비축해 뒀던 것이 생각났다.
나름 산다는 집은 창고에 가득했고 그 시절에도 어렵게 살았던 사람들은
연탄을 창고에 비축하지 못해 추운 겨울을 보내야했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이곳에 사는 분들은 미리 겨울준비를 해 놓은 것 같았다.
그래서일까 물통마다 가득 담긴 연탄을 보니 내 마음까지 따뜻해짐을 느껴졌다.
집이 좁은 관계로 집안이 아닌 밖에 연탄을 둬야 할 상황이라 비올 것을 대비해
비닐을 덮어 놓은 것도 눈에 띄었다.
연탄보일러가 밖에 있다보니 이렇듯 보일러가 동파될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감싸 놓은 곳들도 많았다.
이곳 매축지마을은 다닥다닥 붙어 있는 집들때문에 햇볕이 제대로 들지 않는
관계로 더 춥게 느껴지기까지 했다.
내가 매축지마을을 찾은 날은 날씨가 너무 쾌청했는데 햇볕이 잘 들지
않는 골목길에선 체감온도가 4~5도는 더 낮게 느껴졌다.
이곳 매축지마을을 둘러 보니 오래된 건물이라 창문사이로 엄청
찬바람이 많이 들어 갈 것 같아 내 마음까지 시리게 만들었다.
오래된 세월만큼 삶의 녹록함이 그대로 묻어 있는 매축지마을의 겨울..
집집마다 가득 담긴 연탄을 보며 조금이나마 따뜻한 겨울을 났음하는 바람을 가져 본다.




